랑군 시장에는 보석가게도 있었다. 버마는 보석이 많이 나는 곳이었기 때문에 루비나 비취가 특히 싼 편이었다.
친구들 중에는 보석을 많이 모으는 사람도 있었다. 나도 하나정도는 가지고 있는게 좋을 것 같아서 큰 맘 먹고 다이아몬드를 사기도 했다. 일본의 활동사진이나 일본에서 온 가부키 공연을 보러 간 적도 있었다. 가부키는 배우들이 의상을 여러 개 겹쳐 입고 있던 것과 남자배우가 여자 역할을 하던 것이 신기했다.
어쩌다 모처럼 놀러 왔으면서도 방구석에 방구석에 아무 말도 없이 무릎을 꿇어 앉아 있는 젊은 병사들도 간혹 있었다. 그런 사람들은 상관에게 얻어맞았다거나 해서 엄청 속이 상하거나, 돈이 없는 사람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내가 술을 살게요 하고 술을 사서 마시도록 해주었다. 그런 일은 곧바로 부대에서 소문이 퍼졌던 모양으로 며칠 뒤면 반드시 그 병사의 상관인 사람이 와서 표를 한 두장 여분으로 놓고 돌아가곤 했다. 그럴 때면 팁도 쥐어 주었다.
그 당시 천원이면 대구에서 작은 집 한채를 살 수 있었다.
저금해 둔 돈 중에서 5천 엔을 송금했다. 담당하는 병사에게 물어보니 "저금이 있다면 전부 보내는 게 좋을 걸." 이라고 했지만, 나는 "남은 돈은 조선에 돌아가서 출금할 거니까 괜찮아요."라고 대답하고 전부 부치진 않았다. 우선 부친 돈이 제대로 도착할지가 걱정이었고, 겨우 모은 저금이 없어지는 것도 왠지 불안했다.
우리가 사이공에 있었던 그 때가 우기였던 것 같다. 왜냐하면 내가 사이공에서 레인코트를 샀던 것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레인코트는 프랑스산으로 아주 산뜻한 녹색이었다. 내가 제일 좋아하는 색이 녹색이라 그 레인코트를 사지 않을 수 없었다. 사실 디자인은 특별한 것이 없었으나 타는 듯한 녹색이 아주 멋졌다.
나는 악어가죽 핸드백에 하이힐을 신고 녹색 레인코트를 입은 멋진 차림으로 사이공의 거리를 활보했다. 아마 누가 보더라도 내가 위안부로 보이진 않았을 것이다. 지금도 그날의 기억을 떠올리면 아주 그립고 그때의 자신만만함이 되살아나는 기분이 든다.
TV 드라마, 역사서, 연극 등 미디어 매체에서는 이른바 국모(國母)로써 추대하는 '명성황후'는
실제로 고종만큼이나 무능하면서도 고종보다도 더 악랄하고 이기적인 여자였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많다.
이른바 '명성황후' 도 자기 자신만 명성황후라 떠들고 다녔던 조선만의 우물안 개구리 명칭.
황후로서의 품격이나 자질은 눈꼽만큼도 없었고, 어떻게 하면 백성들을 더욱 쥐어 짜 내
자신의 가오를 지킬 수 있을까, 허영을 채울 수 있을까만 연구하던 희대의 악녀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본 글에서는 '명성황후'라는 고매한 표현 대신 올바른 '민비'라는 표현으로 일관하겠다.
다시 이야기로 돌아와서 맨 처음 사진에 제시된 거대하고도 넓은 카페트를 보라. 민비의 표범가죽 48조각을 이어만든 카펫으로, 당시 서양 외교관들도 보고 혀를 내둘렀다는 일화가 있다. 그러던 중 6.25 전쟁 당시에 단돈 25달러에 미국인이 사들여 미국으로 반출되었다.
민비가 직접 사용하던 카페트인지 정확히는 모르지만,
확실한건 뒤에 조선황실의 문양이 찍힌것을 보아 황실에서 쓰던게 맞다는 박물관 관계자의 말.
민비의 사치는 국고를 바닥낼정도로 미친년이라고 원성이 자자했다. 특히 자신의 아들 순종에 관한 사치는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
또한 민비는 시간이 날 때마다 이른바 조선 강토의 전국 명산마다
굿판을 벌여서 나라 전체를 무속이 판치는 난장판으로 만들었다.
조세로 거둬들인 돈을 무당에게 바치고 있었는데, 당시 세계는 산업화에 힘입어 여러 혁명이 일어나고 있을 때
우리의 국모께서는 돈을 바닥에 뿌리며 귀신놀이에 한참 심취해 있었다.
또한 질투와 시기심도 많아 왕의 후궁은 왕이 붕어하기 전까지 그 누구도 인사에 관여할 수 없었는데,
민비는 그 원칙마저 자기 마음대로 하여 고종의 후궁들을 궐 밖으로 다 내쫓았다.
민비로 추정되는 사진들을 보면 다 외모가 다르다. 하지만 다 민비로 추정되는 초상화들이다. 그만큼, 남편인 고종의 정확하게 남아있는 사진에 비해 민비는 그 흔적조차 찾기 힘들다. 그 이유인 즉슨, 민비는 사진 찍기를 극도로 혐오했다고 한다. 왜냐하면 자신이 '암살' 당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민비는 암살의 공포로 인해서 매일 새벽 5시까지 잠을 이루지 못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