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나이와 한국식 나이 무엇이 다른가?
윤석열 정부가 새로 출범하면 한국식 나이 셈법이 사라질 지 주목된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유독 한국에서만 제각각인 나이 기준을 '만 나이'로 통일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만 나이가 법적·사회적 기준으로 통일되면 생일이 지나지 않은 사람은 기존 관습보다 최대 두 살 어려진다.
나이 이슈는 사회적 혼란을 줄이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실제 한국에서는 세 가지 방법으로 나이를 계산한다.
태어나자 마자 '한 살'이 되고 해가 바뀔때 마다 한 살씩 늘어나는 한국식 '세는 나이'는 일상 생활에서,
태어난 순간을 '0살'로 보고 그로부터 1년이 지나 생일이 되면 한 살을 더하는 '만 나이'는
민법을 비롯한 각종 법률 상 세금·복지 대상 선정 기준으로 각각 쓰인다.
청소년 보호법이나 병역법 등에서는 태어난 순간 '0살' 시작해 해가 바뀌면 한 살씩 올라가는 '연 나이'가 사용된다.
'세는 나이'는 과거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두루 활용됐다고 한다.
하지만, 일본은 1902년 '만 나이'를 공식 적용했고 1950년 '세는 나이'를 법으로 사용을 금지했다.
중국은 1970년대 문화대혁명 이후로, 북괴는 1980년대 이후 '만 나이'만 사용하고 있다.
물론 한국도 1962년 법률로 '만 나이'를 공식화했지만 일상에서는 여전히 '한국식 나이'가 더 익숙하다.
나이 셈법이 복합해지면서 국제 기준인 '만 나이' 사용을 생활화, 의무화해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도 올라오기도 했다.
물론 문재인식 국민청원은 문재인의 관심 밖의 일은 씹히듯 그냥 유야무야 흘러갔다.
과연 윤석열 당선인의 만 나이 공약에 대해 국민들의 생각은 어떨까?
일반인 상당수는 '만 나이' 표준화를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닉이 작년 12월 '만 나이 표준화'를 주제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2021명 중 83.4%(1686명)가 '만 나이를 표준화하는 데 찬성한다'고 답했다.
'반대한다'와 '기타'는 각각 12.8%(258명), 3.8%(77명)에 불과했다.
한국리서치가 같은 달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에서도 10명 중 7명이 한국식 나이를 폐지하고 '만 나이'를 사용하는 것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리얼미터가 전국 19세 이상 52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한국식 나이 유지가 바람직하다'는 응답이 46.8%, '만 나이 통일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이 44.0%로
오차범위 내에서 맞섰다. 공문서 등에서 이미 '만 나이'가 사용되고 있어 굳이 표준화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있다.
'표준화'가 되레 사회적 혼란을 가중시키고 비효율적이라는 것이다.
관습을 바꾸는 데 정부가 앞장서면 혼란만 커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오랜 기간 관습이고 고착화 되어 있는 나이에 대한 정책 변경은 혼란을 불러올 수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어떠한 정책이건 시행 초기의 혼란은 불가피한 것으로,
변경의 목적과 합리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무엇이 더 향후 합리적인지 따져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택시 5차 소득안정자금 신청 (0) | 2022.02.27 |
---|---|
직장 내 괴롭힘 산재인정 조건 (0) | 2022.02.24 |
공공부문 노동이사제? (0) | 2021.11.22 |
서울 단풍 명소, 남산 (0) | 2021.11.11 |
갤럭시노트 단종? (0) | 2021.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