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들의 엔지니어링 기술의 정점을 보여주는 1900년 전 건축물, 판테온(Pantheon).

이 건물은 현재 로마시 중심부에 위치해 있어 매년 수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곳이라 할 수 있다.

 

 

 

마르쿠스 아그리파

 


먼저 판테온은 로마의 초대황제 어거스투스의 절친이자 유능한 장군이었던 마르쿠스 아그리파(Marcus Agrippa)가

BCE 20년경에 완공되었는데 CE 110년경 로마의 큰 화재로 완전히 소실되어 PAX ROMANA를 이끈 5현제 시기인

CE 114년 트라야누스(Trajan) 황제가 만들기 시작, 그 후대인 하드리아누스(Hadrian) 황제때인 120년대에 완공된 신전이다.


 

판테온의 전면 사진


이 사진에선 두 가지 사실을 알아낼 수 있는데,

우선 첫번째는 가운데 세겨져있는 로마문자이다. 우리도 쉽게 읽을 수 있는 로마문자가 위에 각인되어 있다.

제일 왼쪽엔 M.AGRIPPA라고 쓰여 있는데,

그 부분만큼은 아까 말한대로 M(ARCUS) AGRIPPA 장군이 처음 만들어서 그 이름을 세겨놓았다는 걸 쉽게 알 수 있다.

근데 그 이후에 나오는 문자들은 뭘 뜻하는 것일까?

 

 

M.AGRIPPA.L.F.COS.TERTIVM.FECIT

 

 

여기서 약자로 되어있는 부분을 풀어써보면 M(ARCVS) AGRIPPA L(VCIL) F(ILIVS) CO(N)S(VL) TERTIVM FECIT 이다.

라틴어를 해석해보면, 
lucil은 아그리파 아버지의 이름 filius는 아들, consul은 집정관 tertium은 3번째, fecit은 만들었다라는 뜻이므로, "LVCIL의 아들 M. AGRIPPA가 세번째로 집정관을 하던 때 만들었다"라는 뜻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한 피스로 된 기둥을 볼 수 있는데, 저런 그리스/로마 양식의 기둥들은

원래 여러 원통들을 쌓아올려서 만드는 형식을 사용한다.

아무래도 저렇게 큰 기둥이 하나로 되어있으면 만들고 옮기는데 엄청난 노동력이 들기 때문.
기원전 430년경 완공된 아테네의 파르테논 신전 사진과 비교해보면,

 

 

 

아테네의 파르테논 신전

 


아크로 폴리스에 있는 파르테논 신전이다.

역시 엄청난 규모를 자랑하는데, 기둥들을 자세히보면 대략 10개정도의 작은 원통들이 쌓아져서

하나의 기둥을 이루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판테온


판테온을 약간 옆에서 본 모습. 기둥들은 총 12개가 있다.

하지만 판테온의 기둥은 저런식으로 원통을 쌓은 게 아니라 한피스로 되어있는데 더 놀라운 것은

2500 마일이상 떨어져있는 이집트 남부의 Mont Claudianus라는 채석장에서 가져왔다는 것이다.

저 기둥 하나의 길이는 대략 12미터, 무게는 100톤에 이른다고 한다.

 

 

 

남부 이집트의 채석장 유적

 


이집트의 Mont Claudius는 뛰어난 품질의 Egyption grey granite을 생산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당시 최고의 품질을 가진 석재를 사용하기 위해 이 먼곳에서부터 가지고 온 것으로 추정된다.

채석장 유적에서 최근 발견된 파피루스에 적힌 기록들을 보면,

각종 음식과 물을 요구하고 일꾼들에게 제공하던 기록들이 나온다.

그 중 하나를 보면 917명의 인부들에게 물을 나눠줬다는 기록이 있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 기둥을 채석하고 운반하기 위해 동원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일꾼들은 100톤짜리 저 기둥들을 100마일 이상 떨어진 나일강까지 운송, 나일강에선 바지선을 통해 운반, 알렉산드리아까지 가서 다시 화물선에 옮겨 로마 옆 항구도시인 오스티아(Ostia)까지 운반, 다시 거기서 바지선으로 티버강 따라 로마에 수송한 것이다.
로마제국 내 발달된 운송 네트워크와 고대시대 이런 건축/자제조달을 할 수 있다는 로마의 발전된 기술력의 산물인 셈.

 

 


판테온이 유명한 이유는 사실 이것보단 거대한 돔 구조에 있다.

 

 

 

판테온의 내부 구조
판테온의 천장


거의 완벽한 구형을 이룬 돔구조로 되어있다. 가장 위엔 환기를 위한 구멍이 뚫려있는게 특징이다.
이 돔구조는 아래 그림처럼 지름 43.3m의 구를 완전히 채울 수 있는 구조라고 한다.

 

 

 



만든지 1900년이 지난 지금도 아주 안전할 정도로 뛰어난 당시 로마의 콘크리트기술을 보여주고 있다.
판테온은 인류가 만든 가장 큰 돔형 건축물이라는 기록을 20세기 중반까지도 보유하고 있다가,

1958년에 비로소 프랑스 파리에 Center of New Industries and Technologies 건물이 지어지며 넘겨지게 된다.

즉, 현대기술에 필적할 정도의 수준을 이미 고대시대에 보유하고 있었단 이야기.

이런 고도의 기술력을 가진 로마제국의 기술력이 결국 중세암흑시대를 거치며 완전히 상실,

산업시대에나 재발견되었다는 건 정말 안타까운 일이다.

잊혀지지않고 이어졌다면 현재의 기술력은 얼마나 발전했을까를 생각해보는 것도 재밌는 일이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몽골이 고려를 병합하지 않은 이유  (0) 2020.10.14
블랙프라이데이 삼성 LG 인기  (0) 2019.11.29
세계의 범죄조직  (0) 2019.11.02
넷플릭스의 대항마 웨이브  (1) 2019.09.24
장제스의 선견지명  (0) 2019.09.17

세르비아 마피아



1.세르비아 - 마피아


세르비아 마피아는 독일, 영국, 프랑스, 미국 등 10여개 국가에서 활동하고 있다.

마약 밀매, 밀수입, 청부살인, 도박, 정보절도 등 범죄유형도 폭넓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Vozdovac, Surcin, Zemun 등 3개 거대 조직이 그 아래 방계 조직을 제어하는 형태로,

세르비아 국내에 30-40개의 작은 조직이 있다고 한다.




이스라엘 마피아



2. 이스라엘 - 마피아


마약, 매춘 등을 주요활동으로 하며 세계 각지에 흩어져 있다.

예전엔 이스라엘 마피아라고 하면 의리, 인정이 두터워 경외감이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무자비하고 쉽게 사람을 죽여 공포감만 주고 있다.

특히 이스라엘 마피아는 미국 정부와 연결돼 있다는 설이 있다.



 

멕시코 카르텔
멕시코 카르텔



3. 멕시코 - 카르텔
 

멕시코 카르텔, 너무 유명해서 설명 생략.

온갖 화려한 무기들과 유탄발사기, 탱크에 잠수함까지 가지고 있는 군대 수준의 조직.

멕시코 남부 지방을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다.




일본 야쿠자

 


4. 일본 - 야쿠자


야쿠자의 기원은 17세기라고 하는데, 현재 2,500개 조직에 11만명의 구성원이 있다고 한다.

주요활동은 ‘무수정 포르노 판매’와 매춘 알선, 불법이민 가이드, 갈취 등이다.

 

 

 



최근 젊은 애들 지원이없어서 50대 이상 조직원이 40%에 넘는 지경에 이르렀다.



홍콩 삼합회



5. 홍콩 - 삼합회


홍콩을 거점으로 하는 범죄조직, 약 57개파로 이루어져있고, 마약 매춘 알선으로 수익을 창출한다.


 

콜롬비아 카르텔
콜롬비아 카르텔



6. 콜롬비아 - 마약 카르텔
 


주요 마약거래를 처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조직으로 수많은 납치와 테러에 관여돼 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1980년부터 1990년대에 힘을 가진 대규모 마약 카르텔이 퇴색하고 현재는 그 세를 늘려가고 있는 상황.

마약 카르텔과 정부군의 전투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특히 파블로와 엘 차포의 이름은 한국에서도 널리 알려져있을 정도. 

 

 

러시아 마피아


 

7. 러시아 마피아


러시아 마피아의 기원은 15세기에서 16세기 무렵에 나온 반정부 무장집단 또는 노예제 시대의 농노라고도 한다. 

심지어는 러시아 제국의 포로라는 설도 있지만 명확하지 않다.

구소련 시대 사회주의를 거쳐 페레스트로이카와 함께 암시장에서 자유시장 경제가 펼쳐지면서 성장기반으로 작용했다. 

암시장 브로커에 손을 펼친 러시아 마피아의 주요활동은 소규모 조직일 경우 협박, 매춘 등을 주로 한다.

반대로 대규모 조직은 국영기업과 민간기업 인수, 마약거래, 돈세탁, 무기 밀매 등을 한다.

러시아 내부 보고에 따르면 마피아 관련 기업의 수는 5,600개 이상. 구성원 수는 10만명 이상이다.

게다가 러시아 GNP의 40%를 이런 범죄조직이 벌고 있다고 한다.




이탈리아 마피아



8. 이탈리아 마피아


‘대부’ , ‘스카페이스’ 두 개로 요약 가능, 이탈리아 3대 마피아의 연 매출은 애플에 육박하는 161조원.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랙프라이데이 삼성 LG 인기  (0) 2019.11.29
로마의 판테온  (0) 2019.11.03
넷플릭스의 대항마 웨이브  (1) 2019.09.24
장제스의 선견지명  (0) 2019.09.17
우리 생활속 로마의 문화유산, 달력  (0) 2019.08.16

한겨레
소방헬기 추락 사고 일지 조선일보

 

 

지난달 31일 오후 11시26분쯤 독도 인근 해상에서 환자를 이송 중이던

중앙119구조본부 소속 EC225 헬기 1대가 추락했다.

헬기에는 환자·보호자·소방구조대원 등 7명이 타고 있었다.

 

 

 

수색중인 해양경찰 YTN
수색중인 해양경찰 중앙일보

 

 

이후 오늘 독도 해상에서 바다로 추락한 소방헬기 동체가 사고 14시간여 만에 발견되면서

실종자 수색과 구조작업도 본격화되고 있다.

해경과 소방당국은 특수 심해잠수사와 잠수 구조함 등을 투입해 실종자의 행방을 찾고 있는 상황.

 

 

 

동해지방해양경찰청의 발표 SBS뉴스

 

 

오늘인 1일 동해해양경찰청의 발표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35분부터 2시25분까지 해양경찰 중앙특수구조단 잠수 인력 3명이 수색을 벌여 독도 남쪽 약 600m, 수심 72m 지점에서 추락한 소방헬기를 발견했다"면서

"다만 사고 헬기의 상태는 원형 그대로의 온전한 형태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잠수사들은 기체에서 나오는 신호를 포착해 구체적인 위치를 파악하는 데 성공했다.

해경은 정밀탐색을 통해 동체의 상태와 생존자 여부를 확인한 뒤 사고 헬기의 수중 인양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독도해역 헬기 추락 상황 일지 연합뉴스

 

 

사고 당시 추락한 헬기는 응급환자를 태우고 독도를 이륙한 뒤 2분도 안돼 추락했다.

독도경비대는 전날 독도 인근에서 홍게를 잡던 50대 어선 선원이 왼쪽 엄지손가락 첫 마디가 절단됐다는 응급 상황을 접수한 후 119에 신고해 헬기 지원을 요청했다.

헬기는 응급환자 요청에 따라 오후 11시22분쯤 독도에 착륙했고 2분 뒤인 24분쯤 환자 등이 탑승했다.

당초 환자는 대구에 있는 수지 접합 전문 병원에서 치료를 받을 예정이었다.

 

 

 

수색 대기중인 심해 잠수요원 이투데이

 

 

해경은 사고 직후 조명탄 172발을 쏘며 함정과 민간어선 등을 동원해 야간 시간대 집중수색을 벌였지만 기체를 찾지 못했다.

수색당국은 해가 뜬 후 잠수사를 투입하려고 했지만, 파도가 높은 등 기상 여건이 좋지 않아

오후부터 수중 수색을 진행했다. 현재 심해 잠수요원 약 35명이 수색을 위해 현장에서 대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독도 인근 추락한 헬기 기종 중앙일보

 

 

일부 전문가는 기체 결함을 이번 사고의 원인으로 지목했다.

사고 기종인 중앙119구조본부 소속 EC225 헬기(제작사 ‘에어버스 헬리콥터스’)는 2016년 3월 국내에 도입됐다.

항공 전문가 등의 말을 종합하면, 이 헬기는 조종사 2명과 정비 및 항법을 담당하는 승무원 1명, 그리고 승객 25명이 탈 수 있는 대형기종이다.

적외선 탐색장비 등을 갖추고 있고 야간 비행이 가능한 안정적인 기종이라는 게 공통된 설명이다.

 

 

 

소방헬기의 모습 중앙일보

 

 

해당 헬기에는 20년 이상 경력의 공군 출신 조종사 2명이 탑승한 것으로 알려졌다.

22년간 군에서 헬기를 조종했다는 예비역 출신 A씨(49)는

"통상 바다에서 이륙할 때는 육안으로 주변 지형지물을 살피며 주행하는 ‘시계비행’을 하다가 이후 계기비행으로 바꾸게 된다"면서

"이륙 직후 추락한 것으로 봤을 때 조심스럽지만 기체결함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시계비행(VFR·Visual Flight Rules)이란, 주변 가시거리가 넓은 상태에서 조종사가 직접 눈으로 주변 장애물을 인식하여 비행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독도에는 등대 불빛 이외에 헬기 조종사가 비행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비행참고점이 없다.

이 때문에 또 다른 전문가는 "조종사가 지형을 착각하는 증상(Vertigo·현기증)에 의해 사고가 났을 수도 있다"면서

과실 가능성도 언급했다. 사고 당시 기상은 평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강한 바람은 불지 않았다고 기상청은 밝혔다.

최근 3년간 독도에서 야간 시간대 헬기를 이용한 구조 작업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사고 원인과 관련해 해경 측은 "헬기에 블랙박스와 보이스 레코더(음성 기록장치) 장비가 있는데,

이를 확인해야만 사실관계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해당 기종은 지난 9월23일부터 10월18일까지 제작사인 에어버스사의 외주업체가 자동 회전축을 검사해 통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능 3등급 의대합격  (0) 2019.11.19
진천 화재  (0) 2019.11.07
중국의 스타트업 거품  (0) 2019.10.31
김포 요양병원 화재 발생  (0) 2019.09.25
정년연장 논의 시작  (0) 2019.09.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