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나이와 한국식 나이 무엇이 다른가?

 

 

 

 

윤석열 대통령 선거 당선인
국제 표준 만 나이로 통일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한 바 있다.

 

 

 

윤석열 정부가 새로 출범하면 한국식 나이 셈법이 사라질 지 주목된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유독 한국에서만 제각각인 나이 기준을 '만 나이'로 통일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만 나이가 법적·사회적 기준으로 통일되면 생일이 지나지 않은 사람은 기존 관습보다 최대 두 살 어려진다.

 

 

 

 

대한민국 사회의 나이 셈법

 

 

 

나이 이슈는 사회적 혼란을 줄이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실제 한국에서는 세 가지 방법으로 나이를 계산한다. 

태어나자 마자 '한 살'이 되고 해가 바뀔때 마다 한 살씩 늘어나는 한국식 '세는 나이'는 일상 생활에서, 

태어난 순간을 '0살'로 보고 그로부터 1년이 지나 생일이 되면 한 살을 더하는 '만 나이'는

민법을 비롯한 각종 법률 상 세금·복지 대상 선정 기준으로 각각 쓰인다.

청소년 보호법이나 병역법 등에서는 태어난 순간 '0살' 시작해 해가 바뀌면 한 살씩 올라가는 '연 나이'가 사용된다.

 

 

 

 

 

 

 

 

무엇이 합리적인가?

 

 


'세는 나이'는 과거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두루 활용됐다고 한다.

하지만, 일본은 1902년 '만 나이'를 공식 적용했고 1950년 '세는 나이'를 법으로 사용을 금지했다.

중국은 1970년대 문화대혁명 이후로, 북괴는 1980년대 이후 '만 나이'만 사용하고 있다.

 

 

 

 

 

만 나이 사용을 의무화 해달라는 청와대 청원

 

 


물론 한국도 1962년 법률로 '만 나이'를 공식화했지만 일상에서는 여전히 '한국식 나이'가 더 익숙하다.

나이 셈법이 복합해지면서 국제 기준인 '만 나이' 사용을 생활화, 의무화해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도 올라오기도 했다.

물론 문재인식 국민청원은 문재인의 관심 밖의 일은 씹히듯 그냥 유야무야 흘러갔다.

 

 

 

뉴닉

 

 


과연 윤석열 당선인의 만 나이 공약에 대해 국민들의 생각은 어떨까?

일반인 상당수는 '만 나이' 표준화를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닉이 작년 12월 '만 나이 표준화'를 주제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2021명 중 83.4%(1686명)가 '만 나이를 표준화하는 데 찬성한다'고 답했다.

 

 

 

 

 

여론조사별로 상이한 결과

 

 

 

'반대한다'와 '기타'는 각각 12.8%(258명), 3.8%(77명)에 불과했다.

한국리서치가 같은 달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에서도 10명 중 7명이 한국식 나이를 폐지하고 '만 나이'를 사용하는 것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나이 관련 여론조사 리얼미터

 


이에 비해 리얼미터가 전국 19세 이상 52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한국식 나이 유지가 바람직하다'는 응답이 46.8%, '만 나이 통일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이 44.0%로 

오차범위 내에서 맞섰다. 공문서 등에서 이미 '만 나이'가 사용되고 있어 굳이 표준화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있다.

'표준화'가 되레 사회적 혼란을 가중시키고 비효율적이라는 것이다.

관습을 바꾸는 데 정부가 앞장서면 혼란만 커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오랜 기간 관습이고 고착화 되어 있는 나이에 대한 정책 변경은 혼란을 불러올 수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어떠한 정책이건 시행 초기의 혼란은 불가피한 것으로,

변경의 목적과 합리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무엇이 더 향후 합리적인지 따져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택시 5차 소득안정자금 신청  (0) 2022.02.27
직장 내 괴롭힘 산재인정 조건  (0) 2022.02.24
공공부문 노동이사제?  (0) 2021.11.22
서울 단풍 명소, 남산  (0) 2021.11.11
갤럭시노트 단종?  (0) 2021.09.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