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선엽장군
미군에게도 존경받는 백선엽 장군 동아일보

 

 

군대를 다녀온 한국 남자라면 백선엽 장군의 이름을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것이다.

정훈교육 시간에 가장 단골로 등장하는 이름이기에 내내 잤다 하더라도 그 이름조차 기억이 나지 않을리 없다.

백선엽 장군은 6·25 전쟁 영웅이자 창군(創軍) 원로라고 할 수 있다.

 

 

 

백선엽 장군의 최근 모습
대장 시절 백선엽 장군

 

 

이러한 백선엽 예비역 대장이 어제인 10일 밤 11시쯤 별세했다.

백선엽 장군은 최근 지병으로 건강이 많이 악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백선엽 장군 측 관계자는 "최근엔 사람을 잘 알아보지 못했고, 6·25 70주년도 잘 모르시는 것 같았다"고 했다.

 

 

 

 


1920년생인 백선엽 장군은 6·25 전쟁 당시 낙동강 다부동 전투 등에서 전공을 세우며,

32살 나이에 국군 최초의 대장에 올랐고, 태극무공훈장을 두 차례 받았던 인물이다.

 

 

 

 

 

경북 칠곡의 다부동 전투에서 그는 패퇴 직전인 아군에게

"내가 앞장설 테니, 내가 물러나면 나를 쏴라"고 말하며 인민군이 점령한 고지로 뛰어올라갔고 전세를 뒤집었다.

많은 6·25 전사가들은 "이 전투에서 패했다면 대한민국은 없었을 것"이라고 했다.

 

 

 

 

 

유족은 부인 노인숙씨와 아들 남혁·남흥씨, 딸 남희·남순씨가 있다.

빈소는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다.  발인 15일 오전 7시.

자신의 관할 지역구를 빚더미에 던져 놓고 성추문으로 자살한 누구도 성대한 장례를 치르는데, 백선엽 장군의 장례에 좌파들의 시끄러운 잡음이 끼어들지 않기만을 바라는 심정이다.

 

 

 

 


1950년 6월25일 북괴의 남침에서 조국을 구한 백선엽 장군은 1920년 11월23일 평안남도 강서군 덕흥리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을 평양에서 지낸 뒤, 평양사범학교를 나왔고 1941년 만주군관학교를 졸업했다.

 

 

 

 

 

일본군 간도특설대에 배치됐던 백선엽 장군은 해방 직후인 1945년 평양에 돌아왔고,

독립운동가이자 조선일보 사장이었던 조만식 선생의 비서로 일하다 김일성이 권력을 잡자 그해 12월 월남했다.

월남 직후 군사영어학교에 들어간 백선엽 장군은

1946년 국군의 전신인 국방경비대에 입대해 부산 제5연대 중대장을 맡았다. 창군 원년 멤버가 된 것이다.

6·25 전쟁 직전인 1950년 4월 대령으로 제1사단장이 되어 개성 지역을 담당했고, 전쟁 발발 당시 고급 간부 훈련을 받고 있었다.

 

 

 

 

 

일각에선 20대 초반 일본군 장교 복무 전력을 들어 백선엽 장군을 향해 '친일파'라고 주장하고 있다.

극단적인 일부는 "백선엽 장군을 국립현충원에 안장해서는 안 된다"고까지 하고 있다.

하지만 백선엽 장군은 1943년부터 만주 간도특설대에 복무했지만 "독립군과 전투 행위를 한 사실이 전혀 없다"고 했다.

그는 "내가 간도특설대로 발령받아 부임해 간 1943년 초 간도 지역은 항일 독립군도, 김일성 부대도 1930년대 일본군의 대대적인 토벌 작전에 밀려 모두 다른 지역으로 옮겨가고 없을 때였다"고 했다.

 

 

 

 

 

지난 2011년 이명박 정부 시절 국립현충원은 백 장군의 서울현충원 안장을 검토했지만

현 정부는 서울현충원이 포화상태이기 때문에 백 장군은 대전현충원으로 가야 한다고 했다.

친중 친북 문정권의 행보는 과연 어디까지 구국영웅들을 홀대할 수 있는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 Recent posts